오늘은 주가에 영향을 주는 환율, 금리, 유가 중에서 금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주가에 환율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e-tetris.tistory.com/1
주가 환율 금리 유가의 상관관계 - 환율편
주식을 투자한다면 환율, 금리, 유가 변동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데요. 최대한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환율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다뤄보도록 할게요. 최근에 환율의 심리적 지
e-tetris.tistory.com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2021년 8월과 11월에 이어서 추가 연속 금리 인상으로 코로나 확산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
왜 이렇게 연달아서 금리 인상을 할까요?
코로나로 인해서 과열된 시장과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기 위한 이유와 우리나라 환율이 상승하여 하락시켜야 하는 경우에 금리인상을 단행하게 됩니다.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주가에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금리와 주가의 관계]
금리와 기준금리는 무엇인가?
금리는 '돈에 대한 이자율'
쉽게 예시를 알려드리면 100원을 빌리고, 감사의 뜻으로 10원을 합쳐서 110원으로 갚는 이자율 10% 입니다.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일반은행과 돈을 거래할 때의 금리를 말합니다.
기준금리가 1%라면 한국은행에 가서 1%의 금리를 주고 돈을 빌릴 수 있거나 예금할 수 있습니다.
경제 상황에 따라 기준 금리 변동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글로벌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2020년 3월에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인하하였습니다. 금리가 내리면서 돈을 빌리는 부담이 줄어들어 가계는 소비가 늘고 기업은 투자를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위기 속 경기가 활발할 수 있었지만, 너무 과열된 경기와 인플레이션으로 지속적으로 물가 및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안정시키기 위해서 다시 기준 금리 인상을 하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금리 인상이 반드시 좋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돈을 많이 빌린 기업이나 가계는 대출 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외환시장에서는 원화 가치가 상승하여 환율이 하락한 만큼 수출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금리 변화에 따른 주가
우리나라의 외국인 투자자로 인해 미국 기준금리와 비슷한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와 주가가 같이 오르거나(2004~2006년) 내리거나(2008~2009년) 또는 반대 경향(2018년)을 보여줍니다.
이러면 금리와 아주 상관없는건가?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다양하기 떄문입니다. 금리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이 경제의 성장이기 때문입니다.
2004년에는 중국에서 세계적 공장 역할로 인해서 성장과 2008년은 금융위기로 하락이 주가와 같은 흐름을 보여줬습니다.
2018년은 미국 시장이 성장하였지만, 금리도 빠르게 올랐기 때문에 반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금리에 따른 투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현재 경제 시장을 파악하고 해당 주식의 기업과 산업에 대해서 잘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금리 변화로 대출에 대한 부담이 적절한지 판단하고 적절한 투자를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번에는 금리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다음에는 유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 환율 금리 유가의 상관관계 - 유가편 (0) | 2022.01.23 |
---|---|
주가 환율 금리 유가의 상관관계 - 환율편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