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자산운용사

투자자산운용사-투자분석기법- 보통주의 가치평가

 

P326, [기본적 분석] 보통주의 가치평가

 

1. 이론

 

1) 보통주의 가치평가가 가장 어려운 이유

(1) 자산의 현재가치(P)는 미래총현금흐름(S)을 적정한 자본할인율(r)로 n기간만큼 할인한 금액이 된다.

(2) 채권(확정이자부채권)은 S가 확정되어 자본할인율(k)을 적정하게 추정하면 되지만, 주식이나 부동산은 미래현금흐름(S)의 추정이 매우 어렵다. 즉, 주식은 채권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매우 어려운 것이며, 이러한 주식의 가치평가를 위해서 가장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배당평가모형을 학습한다.

 

2) 배당평가 일반모형

 

주식 투자수익률 R = (P1-P0) + D / P0 ※ P1 : 매도가, P0 : 매수가, D : 배당수익

 

모형을 무한대로 확장한다면, 매도시기(P1)를 확정할 수 없을 뿐더러 해당 기간에 무수히 많은 배당수익이 쌓이므로, 배당수익만으로도 주식가치평가가 가능함

 

즉 R = D / P0 또는 P = D / k 이며

 

따라서 R(투자수익률) = k(요구수익률)

 

3) 보통주의 가치평가를 위한 성장모형(배당평가 일반모형의 3가지 종류)

(1) 제로성장모형

P0 = D / k

 

(2) 항상성장모형

P0 = D0(1+g)/(k-g) = D1(k-g)

 

(3) 초기고속성장모형

2단계 성장모형(또는 다단계 성장모형)

 

-모든 자산평가 원리는 DCF법인데, 다단계 성장모형의 경우 각 기의 배당금의 현재가치를 구하고 이를 모두 더해 적정 주가를 구한다.

 

P0 = Σ PV(Dt)

 

-2단계로 구분한다. 1단계로는 D1, D2, D3의 현재가치를 구하며, D3이후 2단계로 고든의 성장모형을 적용한다.

-각 기 배당의 현재가치를 구한다.

 

4) 배당평가 일반모형의 응용 - 배당관련식 총정리

 

배당수익률 = 주당배당/주가 = D/P

배당성향 = 주당배당/주당순이익 = D/E = 1 - b

배당성장률 = 사내보유율 X 자기자본이익률 = g = b X ROE

요구수익률 = k = 배당수익률 + 배당성장률 = D1/P + g = Rf + β[E(Rm) - Rf]

 

2. 문제

 

주식의 배당 평가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P0: 현재추정주가, D1: 차기 예상배당, D0: 당기의 배당, k: 요구수익률, g: 배당성장률)

 

①배당금만 고려하여 주식의 가치평가를 한다.

②기업의 성장이 없는 경우를 가정할 때의 주식의 가격은 P0 = D/k 로 평가된다.

③기업의 성장이 일정한 경우를 가정할 때의 주식의 가격은 P0 = D1/k-g 로 평가된다.

④일정기간 초과성장이 존재하는 경우의 주식의 가격은 P0 = D0(1+g)/(k-g) 로 평가된다.

 

답4 초과성장모형은 정해진 식이 없고, 2단계 성장모형으로 대신하기 때문이다.

 

3.응용

 

항상성장모형에서 3가지를 유추할 수 있다.

① 배당 기간이 클수록 주가는 상승한다.

② 요구수익률이 클수록 주가는 하락한다

③ 배당성장률이 클수록 주가는 상승한다.

 

하지만 아주 단순한 가정때문에 문제점이 있다.

① 현재의 성장률이 큰 주식에 항상성장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불확실하다.

② 고율의 성장이 영원히 계속된다고 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장을 꾸준히하는 기업의 주식을 평가할 경우에는 과거의 성장률에 집착하지 말고 그 기업의 미래에 예상되는 성장률을 사용하여 기대수익률을 예측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