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자산운용사

기업분석-(2) 레버리지 분석

 

기업의 매출액이 20% 증가하면 순이익은 얼마나 늘어날까요?

 

같은 비율로 20%로 증가하면 좋겠지만, 고정비가 있기 때문에 매출액 변동률과 다릅니다.

 

1.이론

 

(1) DOL X DFL = DCL

- 재무레버리지도는 영업이익 변화율에 대한 주당순이익 변화율의 비율이다.

- 결합레버리지도는 영업레버리지도와 재무레버리지도의 곱으로 계산된다.

 

 

(2) 레버리지 분석의 개념

 

① 레버리지란 고정영업비나 고정이자비용이 존재할 경우 영업이익이나 주당순이익의 변화율이 증폭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② 영업고정비는 '감가상각비, 임차료, 경영진보수 등'을 말하며, 변동비는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판매수수료 등'을 말한다.

 

영업레버리지와 재무레버리지의 개념

 

2.문제

 

레버리지 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고정비를 부담하지 않는 기업에서는 영업레버리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②재무레버리지가 높을수록 주주들의 요구수익률은 높아진다.

③영업이익의 변화율에 대한 주당순이익의 변화율로 나타나는 것은 영업레버리지도이다.

④영업고정비와 이자비용이 존재하는 한 결합레버리지는 항상 1보다 크다.

답3. 영업레버리지도가 아니라 재무레버리지도에 대한 설명이다.

 

3.응용

 

(1)영업레버리지

영업레버리지 사례

-DOL(영업레버리지)를 계산하였을 때, 투자안A = 2, B = 4로 계산됩니다.

-매출량이 변화할 때 영업이익의 변화율이 DOL 의 배수로 나타납니다.

-사례에서 손익분기점을 지난 매출량 80,000단위 수준에서 매출량이 변할 때 투자안 B가 투자안 A보다 영업이익의 변화율이 큽니다.

-즉, 영업레버리지도가 높다는 것은 영업이익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매출량이 증가하면 영업이익이 급속도로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낼 뿐입니다.

-고정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감가상각비, 임차료, 임직원 보수, 기타 유지비용 등이 있으며, 변동비에는 직접노무비, 재료비, 판매수수료 등이 있습니다.

 

(2)재무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 사례
 

-DFL(재무레버리지)을 계산하였을 때, 레버리지0% = 1, 50% = 1.33으로 계산됩니다.

-DFL이 높을 시 기대수익률이 높아집니다. 이유는 호황 시 타인자본을 적절히 사용할 때 영업이익 변화율(+50.0%)에 대해 세후 순이익의 변화율(+66.7%)이 확대되는 재무레버리지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기가 불황 시 고정 이자비용 증가로 인해 세후순이익이 감소합니다.

 

마무리

투자자산운용사 제1권. 2과목 투자분석기법 기본적분석 338p~340p topic7 기업분석-(2) 레버리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고정비, 변동비, 이자 때문에 같은 비율로 증감하지 않습니다.

기업분석을 할 때 영업레버리지, 재무레버리지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기대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지 판단이 필요합니다.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부분들인지 확인하고 투자 확신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